# 아내의 따뜻한 말 한마디

장애를 극복하고 대통령에 당선된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임기 중 경제공황을 뉴딜정책으로 해결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그가 처음 장애를 얻고 휠체어를 타고 다니게 된 때는
정치가로서는 젊다 못해 어린 나이인 39세 때였습니다.
절망에 빠진 그가 방에서만 지내는 것을 지켜보던 아내 엘레나는
비가 그치고 맑게 갠 어느 날 남편의 휠체어를 밀며
정원으로 산책하러 나갔습니다.
아무 말 없이 하늘만 쳐다보는 루스벨트에게 엘레나가 말했습니다.
"비가 온 뒤에는 반드시 이렇게 맑은 날이 옵니다.
당신도 마찬가지예요. 뜻하지 않은 병으로 다리는 불편해졌지만
그렇다고 당신 자신이 달라진 건 하나도 없어요.
여보, 우리 조금만 더 힘을 냅시다."
루스벨트는 헌신적으로 간호하는 엘레나에게 말했습니다.
"이렇게 장애가 있는데 그래도 나를 사랑하겠소?"
루스벨트의 질문에 엘레나는 웃으며 대답했습니다.
"아니 무슨 그런 섭섭한 말을 해요?
내가 지금까지 당신의 두 다리만을
사랑한 것 같아요?"
엘레나의 이 재치 있는 말에 루스벨트도 함께 웃었습니다.
결국, 엘레나의 헌신적인 사랑과 따뜻한 말 한마디로
루스벨트는 큰 용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는 말을 합니다.
아주 흔한 말이고 때로는 너무 쉽게 내뱉는 말입니다.
그러나 그 말에 담겨 있는 의미는 대단히 무거운 것입니다.
모든 것을 포기하고 절망에 빠진 사람에게
기적과 같은 반전을 줄 수 있는
엄청난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랑이 담긴 말 한마디,
진심이 담긴 손짓 하나로
절망을 희망으로 만드는 기적은 얼마든지 만들 수 있습니다.
당신도 할 수 있습니다.
# 오늘의 명언
말도 아름다운 꽃처럼 그 색깔을 지니고 있다.
- E.리스 -
# 인생의 든든한 동반자
살다보면 세파에 시달려 너무나 고단하고 지치고 힘든 인생의 고비를 맞이할 때가 있습니다. 앞길이 은산철벽에 막혀 절망과 체념의 구렁텅이로 내몰릴 때도 있습니다. 죄와 허물에 허우적대며 인생의 낙오자로 전락하는 순간도 찾아옵니다. 고단하고 지치고 힘들 수록 증산상제님을 찾아야 합니다. 허물많고 죄짓고 손가락질받을 수록 증산상제님을 찾아야 합니다. 손가락 하나 어찌해볼 수 없는 막막한 순간일 수록 증산상제님을 찾아야 합니다. 증산상제님께서는 '만나기만 만나보면 너의 집안 운수로다'라고 깨우쳐 주시며, '모든 일에 나를 믿고 근심을 놓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이튿날 솔안을 떠나 정읍 대흥리로 가실 때, 공우를 돌아보시며 가라사대 "만났을 적에" 하시니 공우가 문득 동학가사에 '만나기만 만나보면 너의 집안 운수로다'라는 구절이 깨달려 드디어 따라나서니라. (대순전경 p112)
@ 형렬의 아내가 자래(自來)로 산후에는 반드시 복통이 나서 여러 날동안 앓는 예증이 있어서 또 복발하므로 형렬이 크게 근심하거늘, 상제님께서 위로하여 가라사대 "이 뒤로는 모든 일에 나를 믿고 근심을 놓으라." 형렬이 명하신 대로 다만 상제님만 믿고 근심을 놓았더니, 과연 아내의 복통이 곧 그치고 그밖에 천촉과 해소같은 별증도 다 나으니라. (대순전경 p20)
인생을 살다보면, 말 한 마디에 용기와 희망을 얻기도 하고 말 한 마디에 절망과 체념을 낳기도 합니다. 증산상제님의 말씀에는 천지의 약동하는 기운이 담겨있고 천지의 용솟음치는 생명력이 담겨있습니다. 증산상제님은 죽은 사람도 살려내고 병든 사람도 고쳐내는 하느님이요 만국의원이십니다. 증산상제님께서는 '나의 말은 약이라. 말로써 사람의 마음을 위안도 하며 말로써 병든 자를 일으키기도 하며 말로써 죄에 걸린 자를 끄르기도 하나니, 이는 나의 말이 곧 약인 까닭이라. 나의 말을 잘 믿을 지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나의 말은 약이라. 말로써 사람의 마음을 위안도 하며 말로써 병든 자를 일으키기도 하며 말로써 죄에 걸린 자를 끄르기도 하나니, 이는 나의 말이 곧 약인 까닭이라. 충언(忠言)이 역이(逆而)나 이어행(利於行)이라 하나니, 나의 말을 잘 믿을 지어다. (대순전경 p316)
희망이 없다고 낙담하지 말고, 죄가 있다고 절망하지 말아야 합니다. 희망을 찾지 못한 것이 암담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희망의 문을 닫는 것이 암담한 것입니다. 죄가 있는 것이 나쁜 것이 아니라 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나쁜 것입니다. 상극지리가 지배하는 오탁악세에 희망을 찾지 못해 방황하며 흙탕물 묻히지 않고 사는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습니다. 아무리 절망적인 상황일 지라도 증산상제님을 만나면 희망의 불빛을 발견할 수 있고, 아무리 큰 죄를 지었을 지라도 증산상제님을 만나면 죄의 옷을 벗을 수 있습니다. 증산상제님께서는 '네 자식이 불량한 탕아가 되여 돌아오면 너는 네 자식이 아니라 버려 두겠느냐. 너는 그러지 못하리라. 나도 역시 그와 같아서, 너희들이 죄를 지으면 그 죄가 너에게 되돌아감으로, 나는 참지 아니하고 그를 막느니라'고 말씀하시며, 슬피우는 제자에게 '마음을 잘 지키면 앞일이 열리리라' '잘 되게 하여 주리니 울음을 그만 그치라'고 위로해 주셨습니다.
@ 어느날 종도들에게 이르시기를 "네 자식이 불량한 탕아가 되여 돌아오면 너는 네 자식이 아니라 버려 두겠느냐. 너는 그러지 못하리라. 나도 역시 그와 같아서, 너희들이 죄를 지으면 그 죄가 너에게 되돌아감으로, 나는 참지 아니하고 그를 막느니라." 하시더라 이르니라. (정영규의 천지개벽경 p292)
@ 고창 사람 김재인이 상제님을 뵈올 때마다 항상 지성으로 공대하더니, 기유(1909)년 봄에 경상도에 가서 무슨 일로 죄를 짓고 대구 감옥에 갇혔더니, 삼 년형을 마치고 신해(1911)년 여름에 출옥되었더라. 옥(獄)에서 나왔으나 갈 바를 모르고 탄식하며 있다가 무심히 고개를 들어보메 자기 앞에 상제님께서 계시거늘, 너무 반가워 슬피우니 위로하여 가라사대 "마음을 잘 지키면 앞 일이 열리리라." 훈계하신 후 "따르라" 이르시거늘, 따라가니 의복을 사서 갈아 입히시고 배부르게 밥을 사주시며 여비까지 주시면서 "집으로 속히 가라." 하시더라. (정영규의 천지개벽경 p363)
@ 박공우가 대흥리에서 증산상제님을 모시고 구릿골로 올 때, 과교리를 지나다가 문득 울음이 나오며 동학으로 다년간 고생하던 일이 생각키워 더욱 서럽게 울어지는지라. 상제님 돌아보시며 가라사대 "무슨 일로 그다지 우느냐." 공우 목메인 소리로 대하여 가로대 "어쩐 일인지 부지중에 울게 되고, 전날 고생하던 일이 낱낱이 생각키워 능히 그치지 못하나이다." 가라사대 "잘되게 하여 주리니, 그만 그치라." 하시니 울음이 곧 그쳐지더라. (대순전경 p66)
자식 멀리하는 부모없습니다. 제자 멀리하는 스승없습니다. 부모와 스승은 언제나 자식과 제자가 잘되기만을 축수하며, 항상 자식과 제자에 대해 사랑하는 마음 안타까운 마음만이 있을 뿐입니다. 증산상제님은 언제 어디서나 우리들의 손목을 다정하게 잡아 이끌어주시는 진리의 부모이자 스승으로서, 항상 우리들과 함께 하는 인생의 든든한 동반자이십니다. 증산상제님께서는 '너희들이 가난하고 병약하여 신음하는 자라도, 일심으로 나를 찾으면 나는 너의 곁을 떠나지 못하느니라'고 말씀하시며, '강포한 자나 거짓으로 속이는 자나 교만하고 인색한 자나 시기하여 험상한 자를 불구하고 나는 저들을 가까이하고자 하나, 저들 스스로 멀어져 감이라'고 안타까워 하셨습니다.
@ 또 가라사대 "너희들이 가난하고 병약하여 신음하는 자라도, 일심으로 나를 찾으면 나는 너의 곁을 떠나지 못하느니라." 하시였다 하니라. (정영규의 천지개벽경 pp262-263)
@ 하루는 이르시기를 "강포한 자나 거짓으로 속이는 자나 교만하고 인색한 자나 시기하여 험상한 자를 불구하고 나는 저들을 가까이하고자 하나, 저들 스스로 멀어져 감이라." (정영규의 천지개벽경 pp285-286)
'용봉광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적처럼 운명처럼 (0) | 2018.02.20 |
---|---|
[스크랩] 나 하나의 중요성 (0) | 2018.02.15 |
[스크랩] 새출발의 희망을 주는 사람 (0) | 2018.01.26 |
[스크랩] 엄마의 사랑 진리의 사랑 (0) | 2018.01.23 |
[스크랩] 독백 (0) | 2018.01.19 |